DBMS/MySQL (14) 썸네일형 리스트형 [MySQL] ERROR 2002 (HY000): Can'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'/var/lib/mysql/mysql.sock' (2) [root@test ~]$ mysql -u dba -pEnter password:ERROR 2002 (HY000): Can'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r '/var/lib/mysql/mysql.sock' (2)mysql 접속 중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.'/var/lib/mysql/mysql.sock' 에 연결할 수 없다는 오류이다. 해당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방법이 다양한데 나는 두가지 정도 체크한 후에 해결하였다. [원인-1]mysqld 가 시작되지 않은 상황에 발생할 수 있다.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나의 mysqld 작동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.[root@test ~]$ service mysqld statusMySQL is stopped .. [MySQL] 데이터베이스 및 테이블별 용량 조회 데이터베이스별, 테이블별, 전체 용량을 아래 쿼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. 1. 데이터베이스별 용량 (Database Size) 조회SELECT table_schema AS 'DatabaseName', ROUND(SUM(data_length+index_length)/1024/1024, 1) AS 'Size(MB)' FROM information_schema.tables GROUP BY table_schema ORDER BY 2 DESC; 2. 전체 용량 (Total Size) 조회SELECT ROUND(SUM(data_length+index_length)/1024/1024, 1) AS 'Used(MB)', ROUND(SUM(data_free)/.. [MySQL] MySQL 버전 확인 쿼리 SELECT version();위와 같은 쿼리를 통해 MySQL 버전을 알 수 있다. 추가로,SQL 이 아닌 서버에서도 버전을 확인 할 수 있다.$ mysql --version [MySQL] Error - bash: mysql: command not found 위 오류는 mysql 명령어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.위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명령어의 경로를 환경변수로 지정해주지 않아서 발생한다. ■ 해결방법1. /usr/local/mysql/bin 로 이동 후 ./mysql 이라는 명령어로 실행 bin 폴더에 mysql 이라는 명령어가 있기 때문에 직접 이동 후 실행하여 해결할 수 있다. [root@iZbp19 ~]# cd /usr/local/mysql/bin [root@iZbp19 bin]# ./mysql -u root -p 2. 환경변수에 mysql 명령어 경로 추가환경변수 파일 편집[root@iZbp19 ~]# vi /etc/profile profile 파일 제일 하단에 아래 내용 추가 후 저장export DB_HOME=/usr/lo.. 이전 1 2 다음